티스토리 뷰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를 모실 수 있는 사당이 있었던 과거와 달리 요즘은 위패 대신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은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곤 합니다. 하지만 처음 차례상을 차리는 분들에게는 지방 쓰는 게 마냥 어렵게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인데요~ 오늘은 추석 차례쌍 지방쓰는법을 알려드리면서 좀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예시 파일을 첨부해드리려고 합니다.

 

 

 

추석 차례상 지방쓰는법

추석 차례상 지방쓰는법을 알려드리자면 부모 한분이 생존에 있을 경우에는 한분만 지방(종이)의 한가운데 쓰면 되지만 만약 부모님 두 분께서 모두 돌아가셨다면 차례상도 함께 차리기 때문에 하나의 지방에 부모를 함께 쓰면 됩니다. 이런 경우 추석 차례상 지방쓰는법은 오른쪽에 어머니(여자)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남자)를 쓰면 됩니다.

 

 

 

 

위의 차례상 지방쓰는법 예시를 보면 웃어른들의 지방에 현(顯)이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 글자로 붙이지만 제주의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그리고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하고 비(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 할머니의 경우에는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지방을 쓸 때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그리고 고인의 직위 > 고인의 이름 > 신위 라고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어내려가면 되는데 남자 조상일 경우에는 이름을 써야 하는 위치에 부군(府君)이라고 적고, 반대로 여자 조상일 경우에는 본관과 성씨를 쓰면 되고, 자식 또는 동생일 경우에는 이름을 그대로 적으면 됩니다. 

 

 

차례상 지방 쓰기 예시.zip
0.21MB

 

차례상 지방은 폭이 6Cm, 길이 22Cm인 백지를 사용하면 되는데 A4용지를 규격에 맞게끔 접어서 사용해도 되지만 요즘은 마트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기에 구매해서 사용하는 게 훨씬 편리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추석 차례 지방쓰는법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백숙부모, 남편, 처, 형, 형수 지방 예시를 위의 파일에 폴더별로 정리해서 첨부해놓았으니 다운로드한 후 압축을 풀고 사용하시거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석 차례상 지방쓰는법 예시 파일 첨부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